티스토리 뷰
동영상 시승기는 여깄습니다.
베뉴는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SUV입니다. 가장 작은 사이즈죠. 베뉴 출시로 현대는 모든 SUV라인업을 구축했습니다. 광고에도 나왔던 것처럼 팰리세이드에도 맞설 만큼 당돌합니다(적어도 생김새는 아주 맹랑하게 생겼죠).
실물로 만난 베뉴는 사진보다 더 아담합니다. 굼실굼실한 디자인 때문에 더 귀엽죠. 하지만 좀 더 뜯어보면 의외로 다부집니다. 무엇보다 전면에 커다란 캐스캐이드그릴, 그리고 네모난 헤드램프와 후진등, 옆에 도어핸들 아래 쭉 뻗은 캐릭터라인까지 콤팩트 SUV지만 차에 무게감을 더하고 튼튼해 보이게 하는 요소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니까 엔트리 모델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에게 심리적으로 위안을 주는 거죠. 이를테면
“난 엔트리모델이지만 튼튼해, 단단하게 생겼잖아?”
라고 말하는 거에요.
스토닉과 같은 사이즈에 많은 것을 공유하는 형제모델이지만 느낌은 많이 다릅니다. 베뉴는 좀 더 적극적인 SUV스럽거든요. 풀어 말하면 휠하우징과 사이드스커트에 덧댄 플라스틱 장식들 그리고 뒤쪽에 있는 스키드플레이트에서 전형적인 SUV의 느낌을 물씬 풍기는데 디자인을 스토닉보다 더 대담하게 했어요.
베뉴가 들고나온 컨셉은 ‘혼라이프’입니다. 혼밥, 혼술 등 혼자 사는 삶에 맞춘 차래요. 약간 쓸쓸하지만 요즘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시승하면서 이 컨셉은 나중에 나온, 그러니까 차는 만들어놓고 어떻게 어필할까 고민하다가 짜냈는데 그 아이디어가 기가맥히게 맞아 떨어진 것 같았습니다. 차의 성능이나 실내 디자인 등에선 ‘어떤 부분이 싱글라이프에 맞춰 만들어진 걸까?’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거든요.
센터페시아를 운전석 쪽으로 틀어 좀 더 운전자 지향의 운전석 느낌을 낸다거나, 기어노브쪽 격벽을 쳐서 운전자 공간을 좀 더 중점을 줬다는 티를 내거나 아니면 아이오닉 EV에서 봤던 DRIVER’S ONLY같은 공조장치 버튼으로 뭔가 효율과 운전자 우대정책(?)을 동시에 티낸다거나 말이죠.
베뉴에서 또 빼놓을 수 없는 게 많은 액세서리들입니다. 싱글라이프를 위해서 준비했다는데 참 재밌더군요. 개, 고양이를 위한 하네스와 테더, 그리고 애완동물용 카시트에 시트커버 그리고 오토캠핑 족을 위한 텐트까지. 얼마나 오랫동안 준비했는지, 아니면 컨셉을 잡으면서 정말 한두달 새에 뚝딱뚝딱 만들었는진 모르겠지만 이런 시도는 처음이잖아요. 결과물만 놓고 보면 정말 쌍수로 박숩니다.
베뉴는 또 커스터마이징이란 키워드를 들고나왔어요. 외장칼라, 인테리어 그리고 실내외 자잘한 파츠 조합을 통해 엄청 다양한 베뉴가 탄생합니다. 그러니까 하늘 아래 같은 베뉴 없다는 건데 그 정돈 아니고요;; 개인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맞춰 만든 특징같아요. 근데 이거 어디서 봤죠? 네, 작년에 쉐보레가 들고나왔던 스파크 마이핏입니다.
2200가지 조합이 됐던;;; 그때 아니 이걸 왜? 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이번에도 도슨트 설명 들으면서 또 생각 들었네요. 아니 왜?
인테리어는 검소합니다. 네, 검소해요. 눈으로 봤을 때는 그래도 가공도 잘한 것 같고 소재도 잘 썼다 싶은데 손이 닿는 순간 플라스틱입니다. 우레탄은 암레스트 뿐이에요. 물론 차 급을 생각하면 납득할 수 있고 주지했다시피 가공, 마감을 잘해서 크게 개의치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져보고 게눈 뜨고 살피면 그렇단 거에요.
처음 보는 디자인의 계기판은 눈에 잘 들어옵니다. 다양한 정보를 띄우는데 헷갈리지 않아요. 메뉴 구분도 잘 돼 있고.
실내 공간은 예상보단 괜찮습니다. 스토닉보다 살짝 여유로운 것 같아요. 머리, 다리 공간 모두 괜찮아요. 특히 1열 시트 밑에 발 두는 곳을 깊이 파놔 콤팩트 SUV가 탑승자에게 거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식을 잘 따랐습니다. 그래서 베뉴는 선루프가 필수겠어요. 파노라마는 아니고 일반 선루프긴 하지만 조금이나마 개방감을 높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혼자 달릴 때 선루프 열고 달리면 멋지잖아요. 2열 가운데 바닥은 상대적으로 낮게 튀어나왔습니다. 하지만 어깨 공간은 성인 셋이 뒤에 앉긴 좁습니다.
트렁크는 활용도가 상당히 좋겠습니다. 콤팩트 SUV답게 풀플랫도 되고 바닥엔 별도의 공간도 마련해뒀죠. 2열과 트렁크는 동영상으로 한번 보시죠.
센터페시아는 깔끔합니다. 디스플레이는 제 손 한 뼘 크기인데 위 급 차들의 디스플레이보다 작다 뿐이지 모자라지 않아요. 시인성도 훌륭하고 계기판과 높이도 비슷해 시선이동도 적죠.
중단에 있는 공조장치는 다이얼 세 개로 이뤄졌어요. 온도, 풍향 조절과 풍량 조절 그리고 이오나이저 기능도 들어갔습니다. 독립식은 아니지만 풀오토 방식이니까 이 정도면 호화롭다고 할 수 있죠.
기어 노브는 민짜지만 잡는 맛은 좋습니다. 사실 기어노브도 커스텀하기 좋은 파츤데 왜 안 했나 모르겠네요. 그리고 베뉴에서 처음 선보이는 트랙션 콘트롤 다이얼도 눈길을 끕니다. 드라이브 모드와 터레인 모드를 합친 건데 ESP개입 시점을 조절해 노면 별 최적 구동력과 제동력을 끌어내려는 장치입니다.
베뉴는 스마트스트림 1.6 가솔린 엔진에 CVT를 맞물렸죠. 주행성능은 부족하진 않지만 넘치지도 않아요. 최고출력 123/6300rpm에 최대토크 15.7kg.m/4500rpm을 냅니다. 변속기는 요즘 무단변속기답지 않게 RPM은 막 솟구치는데 속도는 그만큼 오르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거슬리는 건 소음과 진동이에요. 횡풍과 노면에서 올라오는 소음이 꽤 있습니다. 혼자 타며 즐거울 운전자에게 노면 상황을 적극적으로 전달해주기 위함일까요?;;
앞 스트럿, 뒤 토션빔 서스펜션은 평상시엔 괜찮지만 불규칙적인 노면, 특히 경사도가 변하거나 좌우로 굽이친 요철에선 심하게 우당탕거려요. 그 탓에 얌전히 운전해야 합니다. 급한 코너를 만나진 못했지만 딱히 마구 달리고 싶은 차는 아닙니다. 싱글라이프를 위해 만들었다는 베뉴. 만나보시죠.
베뉴 1.6(17인치)
엔진 I4 가솔린
배기량 1598cc
최고출력(ps) 123/6300rpm
최대토크(kg.m) 15.7/4500rpm
변속기 CVT
0-100km/h 가속 NA
공인연비(복합/고속/도심) 13.3/14.7/12.4km/L
전장X전폭X전고 4040X1770X1585mm
휠베이스 2520mm
공차중량 1215kg
기본가격 1799만원(모던 트림, FLUX는 2111만원부터)
이재림 유튜브 http://www.youtube.com/channel/UCCE4oHV3UzJAEiZWuyqBt7g
원태아버지 네이버 포스트 http://naver.me/5azCm42q
원태월드 1호점 네이버 블로그 https://jr0217.blog.me/
원태월드 2호점 티스토리 http://oneteworld2.tistory.com
원태아버지의 개러지 네이버TV http://tv.naver.com/onetv
'SU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관기>현대 베뉴, 이렇게 만들었어요 (1) | 2019.07.31 |
---|---|
<시승기> 기아 셀토스 1.6 디젤 (Kia Seltos 1.6 diesel test drive) (0) | 2019.07.18 |
<시승기> 렉서스 UX250h AWD(Lexus UX250h AWD test drive) (0) | 2019.07.10 |
<시승기>랜드로버 올 뉴 레인지로버 이보크 D180 SE (Land Rover All New Range rover Evoque D180 SE test drive) (0) | 2019.07.04 |
<시승기> 기아 쏘렌토 더 마스터 (Kia Sorento the master 2019 test drive) (0) | 2019.06.29 |